문학/소설 / / 2023. 10. 29. 19:49

다자이 오사무 인간 실격 줄거리 독후감

728x90
반응형

'인간 실격'을 읽고 나니 다른 어떤 감상보다도 자전적 글을 하나 쓰고 싶다는 생각이 간절해졌다. 그게 얼마 만큼의 진실이든, 얼마 만큼의 허구든. 담담하게, 때로 도발적이게 - 물론 나의 담담함이 외려 독자에게 도발이 되는 - 뭔가를 토해 내고 싶다는 욕망이 일었다.

살면서 어쩌면 한 번, 아니면 두세 번, 많으면 무수히 느꼈을 인간 관계의 허무함과 염증이 [인간실격]의 주인공을 통해 구체화되고 아이러니하게도 이런 구체성은 분명히 타자의 경험인데도 불구하고 내 경험처럼 느껴지게 되는 묘한 체험을 선사하는 작품이었다. 

사람은 누구나 가면 하나쯤 쓰고 산다. 

학교에서는 좋은 선배나 후배, 직장에서는 일을 좋아하는 직장인, 가정에서는 가족에 헌신적인 남편.... 그 속에 웅크리고 있는 놀러 가고 싶은, 다른 여자를 힐끔거리는, 당장 일을 때려치우고 싶은 욕망은 누구의 것인가? 그리고 나를 차치하더라도 나를 향해 웃고, 다른 사람을 향해 헌신적인 누군가의 이면에는 또 어떤 욕망이 숨어 있는 것일까? 아니 정확하게는 감추고 가리고 있는 것일까?

조금은 중2병적인 고민이지만, 결코 가볍지만은 않은 생각이다. 인간은 평면적인 존재가 아니니까. 계층, 문화, 민족, 지위, 상대적 자리.... 이 모든 것은 나의 얼굴에 겹겹의 가면을 씌우고 있다. 현상이 그러한 것과 그러려니, 하는 받아들임은 분명 다른 층위의 문제다.

오사무는 이 글을 쓴 한 달 뒤, 자살했다.

때로 스스로에게도 놀랄 만큼 느끼는 어긋남의 쾌감. 그렇다. 오사무는 소설적 허구와 현실의 경계를 자신의 자살로 무너뜨렸다. '인간'이란 가면을 쓰고 사는 데 지친, 그래서 그것을 벗으려니 '실격'이 되고 마는 한 인간의 마지막 선택. 

필자는 저자의 자살이야 말로 진정 이 소설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대미라고 느꼈다. 

꽤 뭉근하게 여운이 남는 작품이었다. 몇몇 문장에서는 뼈를 맞는 느낌이 들 때도 있었다. 놀라운 내면의 통찰이 아닐 수 없었다. 시대도 사는 곳도 달랐던 작가의 통찰이 내게 닿는 것을 보면서 인간의 정서, 사회나 문화의 본질 또한 비슷한 게 아닐까 하는 생각에도 이르게 했다.

딱히 덧붙일 말은 없다. 

몇 가지 문장을 그대로 옮김으로써 이 소설에 흥미를 자극해 주고 싶을 뿐이다.

"인간을 지독하게 두려워하는 사람이 오히려 더 무서운 요괴를 두 눈으로 확실하게 보고 싶어 하는 심리. 예민하고 겁을 잘 먹는 사람일수록 폭풍우보다 더욱 강력한 것을 바라는 심리."

"겁쟁이는 행복도 두려워하는 법입니다."

"빈부의 어긋남은 진부한 듯하지만, 지금은 역시 드라마의 영원한 테마라고 생각합니다."

"마시다 남은 한 잔의 압생트. 나는 영원히 채워지지 않을 듯한 그 상실감을 은밀히 그렇게 형용했습니다."

"이 아이 역시 그 <갑자기 등에를 때려죽이는 소꼬리>를 갖고 있었던 거지요."

"인간은 피자 서로에 대해서 아무것도 모른다, 전혀 다르게 보고 있으면서 둘도 없는 친구라 여기고, 평생 그걸 깨닫지 못한 채 상대가 죽으면 눈물을 흘리면서 조사 따위를 낭독하는 것이 아닐까요?"

"나의 불행은 거부하는 능력이 없는 자의 불행이었습니다."

"그저, 모든 것은 지나갑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